-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해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주택연금! 하지만 정확한 수령액을 알고 싶다면 주택연금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연금 계산기 사용법, 예상 수령액 확인 방법, 그리고 신청 절차까지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주택연금 계산기 활용방법
주택연금 계산기란?
주택연금 계산기는 자신의 조건에 따라 매월 받을 수 있는 연금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모바일과 PC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며, 빠르고 쉽게 예상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주택연금 계산기 이용방법!
한국주택금융공사
특례보금자리론, 유동화증권, 전세자금보증, 건설자금보증, 주택연금 업무.
hf.go.kr
🏘️ 주택연금 계산기를 사용시 다음 단계를 따라주세요.
⚝ 계산기 접속
먼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메뉴에서 주택연금 > 예상연금 조회를 선택합니다.
2. 주요 정보 입력
⚝ 주택소유자 생년월 및 주택구분 입력- 출생 연월 입력 (공동 명의일 경우 연장자 기준)
- 소유 중인 주택의 종류 선택하세요. 참고 사항 및 파일 첨부하니 다운 받아 사용하세요.
⚝ 현재 주택의 시세 입력하기- [시세검색] 버튼 클릭
- 주택 주소 입력 후 시세 조회 결과 확인하시면 확인된 시세를 입력창에 반영되니 지급방식 및 설정 정보 입력하세요.
🏘️ 주택연금 계산기 지급방식을 알아볼게요.⚝ 종신지급방식
- 평생 동안 일정 금액을 지급받는 방식
- 장수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어 안정적인 노후 보장
- 사망 후 배우자가 승계 가능 (조건 충족 시)
⚝ 종신혼합방식- 초기 일정 기간 동안 더 많은 연금을 지급받고 이후에는 일정 금액을 지급받는 방식
- 초기 생활자금이 많이 필요한 경우 유리
- 지급 초과 기간이 지나면 연금액 감소
⚝ 확정기간방식- 가입자가 선택한 기간 동안만 연금을 지급받는 방식
- 지급 기간(10년, 15년 등)을 정할 수 있어 유연한 설계 가능
- 선택한 기간 이후에는 연금 지급이 종료됨
⚝ 대출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경우, 연금 일부를 대출 상환에 사용하고 남은 금액을 연금으로 지급받는 방식
- 대출 상환 부담을 줄이면서 노후 자금 마련 가능
- 기존 대출 규모에 따라 연금액이 달라짐
⚝ 일시인출방식- 일정 비율(최대 50%)을 한꺼번에 인출하고 남은 금액을 종신지급방식으로 지급받는 방식
- 초기 목돈이 필요한 경우 유리
- 인출한 금액만큼 종신 연금액이 감소
🏘️ 나에게 맞는 주택연금 계산기, 지급방식은?- 안정적인 노후 생활이 중요하다면? → 종신지급방식
- 초기 생활비가 많이 필요하다면? → 종신혼합방식 또는 일시인출방식
-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받고 싶다면? → 확정기간방식
- 기존 대출이 부담된다면? → 대출상환방식
🏘️ 주택연금 지급방식 종류
- 종신방식: 평생 지급
- 확정기간방식: 10~30년 선택 가능
- 대출상환방식: 담보대출 상환 후 잔액 연금 지급
- 우대방식: 기초연금 수급권자 대상 우대 혜택
주택연금 지급기간 주의사항!
🏘️ 주택연금 계산기, 월지급금 지급기간을 알아볼게요.
- 종신방식: 설정 불필요
- 확정기간방식: 15~30년 중 선택하세요.
⚝ 인출한도 설정- 의료비, 교육비, 임대차보증금 반환 등 목돈 필요 시 입력하시고 결과 확인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예상 월 지급금이 즉시 표시됩니다.
🏘️ 주택연금 주이용 시 주의사항
⚝ 주택 가치 한도
시가 9억 원 이하 주택만 신청 가능하며, 공동 명의일 경우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성 계산기는 대략적인 예상 금액을 제공하며, 실제 조건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구체적인 상담 및 신청은 한국주택금융공사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주택연금은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이며, 주택연금 계산기를 활용해 본인의 연금 수령액을 미리 확인하고, 노후 대비 계획을 세워보세요. 이상 주택연금 계산기, 수령액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다양한 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확인, 발급 방법! (2) 2025.02.21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신청방법 및 조건! (6) 2025.02.19 화담숲 모노레일 예약없이 이용 방법 총정리! (2) 2025.02.15 독감 검사 증상 및 전염 격리 기간과 치료방법 알아보기! (2) 2025.02.07 아파트 관리비 조회 방법과 활용하기! (8) 2025.02.04